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심리적 회복탄력성(Resilience) 키우는 법

by l진심하루l 2025. 9. 3.

 

 

 

심리적 회복탄력성(Resilience) 키우는 법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삶 속에서 역경과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심리적 힘을 말한다. 
회복탄력성의 정의, 심리학적 연구, 실제 사례, 그리고 이를 키우는 실천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심리적 회복탄력성
AI이미지



심리적 회복탄력성: 역경을 넘어서는 힘을 키우는 법

 

“무너져도 다시 일어나는 힘”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심리적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역경, 트라우마, 스트레스 상황에서 무너지는 대신 적응하고 회복하는 능력을 의미한다(APA, 2014). 이는 단순한 회복이 아니라, 어려움 속에서도 배우고 성장하는 모든 능력까지 포함한다.

 

 



회복탄력성의 심리학적 기반


Masten(2001)은 회복탄력성을 “평범한 마법(ordinary magic)”이라 표현하며, 특별한 능력이 아니라 누구나 훈련을 통해 개발할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Bonanno(2004)는 트라우마 이후 다수의 사람이 회복탄력성을 보이며 정상적 기능을 유지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요인

 

1. 개인적 요인
  - 긍정적 사고: 실패를 학습 기회로 보는 태도
  - 자기 효능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
  - 정서 조절 능력: 불안을 효과적으로 다스리는 능력
     

2. 사회적 요인
    Kahn &Antonucci(1980)의 사회적 지지 연구는, 가족·친구·공동체의 지원이 매우 중요하며, 그로 인해  스트레스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3. 문화적 요인
    문화적 가치, 종교, 전통은 위기 속에서도 의미를 찾게 하여 상황적 회복탄력성을 강화한다.

 

 



연구 및 실제 사례


미국 9·11 테러 이후 연구에서 많은 생존자들이 극심한 트라우마를 겪었지만, 상당수는 시간이 지나며 회복탄력성을 보였다(Bonanno et al., 2002).임상 현장에서도, 실직으로 우울 증상을 호소하던 40대 남성이 상담과 치유 과정에서, “이번 경험이 내 삶의 방향을 새로 설계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긍정적 사고와 치유의 사고 관점을 갖게 되면서 회복했다. 이는 인지 재구성이 회복탄력성 강화에 큰 역할을 하는 핵심임을 잘 보여준다.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심리학적 전략


1. 인지 재구성(Cognitive Reframing)
    문제의 재해석을 통한 긍정적 의미를 찾는 훈련은 회복탄력성을 높인다(Beck, 2011).

2. 긍정 정서 활용
    Fredrickson(2001)의 확장 - 구축 이론은 긍정 정서가 인지적 자원을 확장하고, 장기적으로 대처 능력을 키운다고 설명했다.

3. 사회적 지지망 확장
    지지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새로운 사회적 연결을 만들수록 위기 상황에서 심리적 보호 효과가 커짐을 알 수 있다.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회복 습관


-  매일 감사 일기 작성하기
-  스트레스 상황을 작은 단계로 나누어 대처하기
-  명상·운동 등 정서 조절 활동 지속하기
-  어려움 속 의미 찾기: “이 경험이 나를 어떻게 성장시킬 수 있을까?”
-  도움 요청을 두려워하지 않기

 

 

 

 

 


맺음말

 

회복탄력성은 선천적 자질이 아니라 훈련으로 키울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이다. 역경 속에서 무너지지 않고 더 강해지는 힘은 누구에게나 있다. 중요한 것은 좌절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좌절 속에서 다시 일어서는 능력을 키우려 노력하는 것이다.긍정적 인지 방식과 정서 조절 능력의 향상, 그리고 회복탄력성 훈련은 삶의 좌절 상황에서 경험되는 두려움과 그 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참고 문헌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4). The road to resilience. Washington, DC.
Beck, J. S. (2011). Cognitive behavior therapy: Basics and beyond. Guilford Press.
Bonanno, G. A. (2004).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American Psychologist, 59(1), 20–28.
Bonanno, G. A. Galea, S. Bucciarelli, A. &Vlahov, D. (2002). Psychological resilience after disaster. Psychological Science, 13(5), 354–360.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56(3), 218–226.
Kahn, R. L. &Antonucci, T. C. (1980). Convoys over the life course: Attachment, roles, and social support.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3, 253–286.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