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의사결정 심리학: 왜 우리는 후회하는 선택을 할까

by l진심하루l 2025. 9. 2.

 

 

의사결정 심리학: 왜 우리는 후회하는 선택을 할까



우리는 왜 선택 후 후회할까? 심리학 연구를 기반으로, 의사결정 과정의 오류와 후회의 원인을 분석하고, 더 현명한 선택을 위한 심리학적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의사결정 심리학
AI이미지

 


의사결정 심리학: 후회를 줄이고 현명한 선택을 하는 법

 

 

“더 나은 선택의 심리학”

 

 



의사결정의 본질

 

의사결정(decision-making)은 목표 달성을 위해 여러 대안을 비교하고 선택하는 과정이다(Simon, 1957). 이론적으로는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실제 우리는 정보의 한계와 인지적 제약 때문에 항상 완벽하게 합리적이지 않다.

 

 



후회의 심리학적 배경


후회(regret)는 선택 후 “다른 대안을 택했더라면 더 나았을 것”이라는 인식에서 비롯된다(Gilovich &Medvec, 1995). 후회는 감정적 고통을 수반하지만, 동시에 미래 행동을 조정하도록 돕는 학습적 기능을 가진다.

 

 



의사결정 오류를 설명하는 이론들

 

1. 제한된 합리성
Simon(1957)은 인간이 정보 처리 능력이 제한적이어서, 최적 선택 대신 만족 가능한 수준에서 멈춘다고 설명했다. 이는 후회의 여지를 남긴다.

2. 인지적 편향
Kahneman과 Tversky(1979)의 전망 이론(prospect theory)에 따르면, 사람은 손실을 이득보다 크게 느끼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손실 회피 욕구가 지나쳐, 오히려 후회할 확률이 높은 선택을 하기도 한다.

3. 선택 과부하
Iyengar와 Lepper(2000)의 연구는 선택지가 너무 많을수록 오히려 결정을 미루거나 후회가 커진다고 밝혔다. 
“선택의 역설”은 현대 소비사회에서 후회를 증가시키는 대표적 요인이다.


 


후회를 심화시키는 요인

 

- 비현실적 기대: 완벽한 결과를 원할수록 후회가 커진다.
- 사회적 비교: 타인의 선택과 성과를 비교하며 후회가 심화된다.
- 되돌릴 수 없는 결정: 취소 불가능한 선택은 후회를 증폭시킨다.

Zeelenberg &Pieters(2007)는 후회가 단순 감정이 아니라, 의사결정 과정 전반에 영향을 주는 동기적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사례


이직을 결정한 후 “다른 회사에 갔으면 더 나았을까”라는 후회로 불면을 겪었던 40대 직장인.
(그는 사전 후회 시뮬레이션 훈련을 통해, 선택의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현재 직장에서 의미를 찾는 법을 배웠음)

Gilovich &Medvec(1994)는 사람들이 단기적으로는 잘못된 행동을 후회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하지 않은 선택(omission)’을 더 크게 후회한다고 보고했다.

 

 



후회를 줄이는 심리학적 전략

 

- 현실적 기대 설정

  “완벽한 선택”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받아들이는 것이 필요하다.

 

- 사전 후회 시뮬레이션(Pre-mortem)

  Klein(2007)은 결정 전에 실패 시나리오를 미리 상상하면 더 신중하고 후회 없는 선택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가치 중심 의사결정

  Schwartz(2004)는 선택을 개인의 가치와 일치시킬 때 후회가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외부 기준이 아니라 자기 가치에 맞는 결정을 할 때 심리적 만족도가 높아진다.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

 

- 작은 결정부터 “충분히 괜찮은 선택”을 훈련한다.
- SNS 비교를 줄이고 자신의 상황에 집중한다.
- 중요한 결정 전에는 장기적 관점에서 자신에게 다음과 같이 질문한다.

  “10년 뒤에도 이 선택을 후회할까?”

 

 



맺음말

 

의사결정 과정에서 후회는 불가피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심리학적 연구는 그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줄이는 전략을 제시한다. 후회는 단순히 배제해야 할 감정이 아니라, 미래 선택을 개선하는 기능적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핵심은 완벽한 결정이 아니라, 개인에게 의미 있는 선택을 하는 데 있다.


 




참고 문헌
Gilovich, T. &Medvec, V. H. (1994). The temporal pattern to the experience of regre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3), 357–365.
Gilovich, T. &Medvec, V. H. (1995). The experience of regret: What, when, and why. Psychological Review, 102(2), 379–395.
Iyengar, S. S. &Leper, M. R. (2000). When choice is demotivating: Can one desire too much of a good th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6), 995–1006.
Kahneman, D. &Tversky, A. (1979).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Econometrica, 47(2), 263–291.
Klein, G. (2007). Performing a project premortem. Harvard Business Review, 85(9), 18–19.
Schwartz, B. (2004). The paradox of choice: Why more is less. HarperCollins.
Simon, H. A. (1957). Models of man: Social and rational. Wiley.
Zeelenberg, M., &Pieters, R. (2007). A theory of regret regulation 1.0.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7(1), 3–18.